본문 바로가기
Life 리뷰/알면 좋은 생활 정보

썼다 썻다 차이와 맞는 표현은?

by 아프리카북극곰 2021. 9. 1.

썼다 썻다 차이와 맞는 표현은?

 

'썼다'와 '썻다'는 발음이 흡사하여 많이 헷갈리는 표현 중 하나입니다. 가령 '글을 썼다'와 '글을 썻다' 중 어떤 것이 맞는지 아마도 많은 분들이 모르실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썼다와 썻다 중 어떤 것이 정확한 표현인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글 맞춤법 썼다 vs 썻다

글을 '썼다 vs 썻다', 돈을 '썼다 vs 썻다', 글씨를 '썼다 vs 썻다' 등에서는 '썼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참고로 '썻다'라는 동사는 존재하지 않는 표현입니다.

 

'썻다'는 '쓰 + 었 + 다'를 줄임 형태로 '쓰다'의 활용형 타동사입니다. 즉, 검색포털에서 검색 보면 '썻다'라는 표현도 제법 사용했는데, 잘못된 표현입니다.

 

 

'썼다' 활용을 보면

글씨를 쓰다

모자를 쓰다

컴퓨터를 쓰다

나물이 쓰다

등으로 '쓰-'로 사용되지만, 어간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붙게되면 '써' 또는 '썼다'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써'는 '쓰 + 어', '써서'는 '쓰 +어서', '썻다'는 '쓰 + 었 + 다'로 축약하여 사용된 표현입니다.

 

 

발음은 다음과 같습니다.

써 -> [써]

써서 -> [써서]

썼다 -> [썯따]

 

 

한글 맞춤법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는데,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한글 맞춤법이 표준어를 대상으로 한다는 의미가 있고, '소리대로'의 뜻은 그 표준어를 적을 때 발음에 따라 적는다는 의미입니다.

 

 

 

 

한글 맞춤법 헷갈리는 표현들

외국어 표기법과 한글 맞춤법이 헷갈리고 틀리기 쉬운 표현이 제법 있습니다. 

쭈꾸미(x) -> 주꾸미(o)

순대국(x) -> 순댓국(o)

공기밥(x) -> 공깃밥(o)

돼지껍데기(x) -> 돼지껍질(o)로 써야 바른 표현입니다.

 

특히 공깃밥 등 사이시옷이 어려운데요.

한자어와 순우리말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면 사이시옷을 삽입해야 합니다. '공기'는 한자어이고, '밥'은 순우리말로 [공기빱]으로 소리가 나기에 사이시옷을 넣어 '공깃밥'이라고 써야 합니다.

 

 

 

'차돌배기'와 '차돌박이'

소 양지머리뼈에 있는 고기부위는 '차돌박이'가 맞는 표현입니다. 어간에 '이'나 '음'이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어간의 원형을 적는다고 표준 한국어에 규정되어 있기에 '박다'의 명사형은 '박이'이므로 '차돌박이'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밥이 찰지다'와 '밥이 차지다'

밥 또는 떡에 끈기가 많을 때 '찰지다'라고 하는데, '찰지다'는 잘못된 표현이고, '차지다'가 맞습니다.

즉, 밥이 차지다가 바른 표현입니다.

 

 

'카페라떼'와 '카페라테'

영어 파열음 p b t d k g을 한국어로 바뀔 때 된소리 및 거센소리가 나는데,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거센소리를 사용합니다. 즉, '카페라떼'가 아니라 '카페라테'가 바른 표현입니다.

 

 

'후라이드' 와 '프라이드'

많은 분들이 '후라이드 치킨'이라고 알고 있지만, 알파벳 f는 한국어 자음 '프'로 사용하기에 '프라이드 치킨'이 맞는 표현입니다.

 

후라이팬(x) -> 프라이팬(o)

화이팅(x) -> 파이팅(o)

환타지(x) -> 판타지(o)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