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 리뷰/알면 좋은 생활 정보

25년 예비군 훈련 제도 변경사항ㅣ훈련비 지급 금액은?

by 아프리카북극곰 2025. 5. 9.

25년 예비군 훈련 제도 변경사항ㅣ훈련비 지급 금액은?

2025년, 예비군 훈련이 그 어느 해보다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어요.


국방부는 ‘즉각적인 전투력 발휘’와 ‘전·평시 임무수행능력 숙달’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 아래 훈련의 질을 높이고, 예비군 개개인의 주특기를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특히, 예비군 훈련 참가비가 새롭게 지급되며, 일정 선택이 가능해지는 등 훈련 참여에 대한 실질적인 동기 부여도 강화되었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예비군 훈련의 주요 변경 사항과 참가비 지급 제도에 대해 자세히 안내드릴게요.

 

25년 예비군 훈련 제도 변경사항ㅣ훈련비 지급 금액은?

 

 

25년 예비군 훈련 제도 변경 사항

1. 지역예비군 훈련 신청 체계 변경

기존에는 정해진 날짜에 무조건 참여해야 했지만, 올해부터는 원하는 날짜에 훈련 일정을 선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단, 이는 먼저 육군 31사단, 37사단, 56사단 등 일부 시범부대에서 선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점차 확대될 예정이에요.

 

원하는 날짜에 신청해 예비군 훈련도 ‘내 일정에 맞게’ 참여하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2. 주특기 강화된 동원훈련 Ⅱ형 도입

기존 훈련은 일반화된 내용 위주였다면, 2025년부터는 본인의 군 복무 시 주특기를 살린 맞춤형 훈련으로 개편됩니다.


동원훈련 Ⅱ형은 총 4일간 진행되며, 이 중 1~2일은 ‘주특기 집중 편성’ 시간으로 운영되죠.

 

시범부대는 육군 32사단, 36사단, 51사단입니다.

 

 

3. 예비군 작계훈련 시간, 탄력적 조정

기존에는 연간 12시간 훈련이 고정 시간이었지만, 이제는 반기 단위로 탄력 조정이 가능해졌어요.


예를 들어 상반기 4시간/하반기 8시간 혹은 상반기 8시간/하반기 4시간 등 유연한 참여가 가능해졌습니다.

 

해당 제도는 5년 차 예비군부터 적용되며, 육군 35사단, 53사단, 55사단에서 시범 운영 중입니다.

 

예비군 홈페이지 바로가기

 

 

 

 

25년 예비군 훈련 제도 예비군 훈련 참가비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예비군 훈련 참가비 지급 제도입니다.
그동안은 아무런 금전적 보상이 없었지만, 이제는 훈련에 따라 일정 금액이 지급돼요.

훈련 종류 기존 지급 방식 2025년 이후 변경
동원훈련 Ⅱ형 미지급 1일당 10,000원
예비군 작계훈련 미지급 1일당 3,000원 (교통비 명목)
 

이는 단순한 격려 차원이 아니라, 훈련 참여의 현실적인 어려움을 고려한 정당한 보상 제도로 볼 수 있어요.

 

25년 예비군 훈련 제도 변경사항ㅣ훈련비 지급 금액은?

 

 

25년 예비군 훈련 제도 지연 입소 허용 시간 완화

출근길 교통 체증, 아이 돌봄, 병원 진료 등 불가피한 이유로 입소가 지연될 수 있는 현실적인 상황도 반영되었습니다.

  • 기존 입소 허용 시간: 오전 9시 30분
  • 2025년부터 변경: 오전 10시까지 입소 가능
  • 보충훈련 제도 신설: 지각 사유에 따른 보충훈련 시행 조항이 새로 마련됨

예비군의 현실을 배려한 변화라고 할 수 있죠.

 

예비군 훈련 연기 신청 바로가기

 

 

25년 예비군 훈련 제도 훈련 연기 기준 강화

훈련 연기 기준 강화 : 총 6회까지만 가능

 

이전에는 훈련 연기 기준이 다소 모호했지만, 2025년부터는 명확한 기준이 제시됩니다.

  • 대상: 주요 운동경기·기능경기·콩쿠르 등 참가자
  • 변경 전: 연기 횟수 제한 없음
  • 변경 후: 예비군 편성 전 기간 중 최대 6회까지 훈련 연기 가능

무분별한 연기를 방지하고 훈련의 내실을 기하려는 조치입니다.

 

25년 예비군 훈련 제도 변경사항ㅣ훈련비 지급 금액은?

 

 

25년 예비군 훈련 제도 주요 용어 변경사항

주요 용어 변경사항도 확인하세요!

 

용어 또한 국민 눈높이에 맞춰 이해하기 쉽도록 개편됩니다.

변경 전 용어변경 후 용어
비상근예비군 상비예비군
동원훈련 동원훈련 Ⅰ형
동미참훈련 동원훈련 Ⅱ형
예비군훈련 보상비 예비군 훈련비
 

※ 예비군 훈련 참가비는 훈련비, 교통비, 급식비를 포괄적으로 포함한 개념이에요.


예비군 제도는 단순한 군사훈련이 아니라, 국가 안보를 위한 사회 전체의 공동 책임을 실천하는 제도입니다.

 

이번 2025년 개편은 훈련의 질을 높이면서도 예비군의 사기를 높이고, 실질적인 지원을 통해 참여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긍정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어요.

 

올해 예비군 훈련 대상자라면, 새롭게 바뀐 훈련 시스템과 신청 체계, 훈련 참가비 지급 제도를 꼼꼼히 확인하시고 놓치지 않도록 준비해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