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 리뷰/알면 좋은 생활 정보

해외직구 $150 달러 이상 관세 면제 받는 방법ㅣFTA 협정으로 면세 받기

by 아프리카북극곰 2025. 6. 27.

해외직구 $150 달러 이상 관세 면제 받는 방법ㅣFTA 협정으로 면세 받기

요즘 해외직구 정말 많이들 하시죠? 특히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직구하면 같은 제품을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서 많은 분들이 이용하고 있어요.

 

그런데 한 가지 문제! $150 이상이면 관세와 부가세가 붙는다는 점, 알고 계셨나요?

 

그런데 여기서 예외가 있다는 것, 혹시 아시나요? 바로 FTA(자유무역협정) 협정 혜택을 활용하면, $150 이상 상품도 면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방법에 대해 아주 자세히, 그리고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해외직구 $150 달러 이상 관세 면제 받는 방법ㅣFTA 협정으로 면세 받기

 

 

 

해외직구 150달러 FTA 면세 면세 기준 기본 개념

해외직구를 할 때, 개인 자가 사용 목적으로 제품을 구입하는 경우에도 일정 금액 이상이면 세금이 붙습니다.

구분 면세 기준 비고
미국 등 FTA 체결국 $150 이하 관세, 부가세 면제
FTA 미체결국 $150 이하 부가세 면제 가능, 관세 적용될 수도
FTA 체결국에서 $150 초과 관세, 부가세 부과되나, FTA 증명서 제출 시 관세 면제 가능  
 

즉, FTA 협정국 제품은 일정 요건만 갖추면 $150 이상이어도 관세가 면제되는 거예요.

 

해외직구 TV 싸게 수리하는 방법

 

 

 

 

해외직구 150달러 FTA 면세 FTA 협정이란?

FTA는 Free Trade Agreement의 약자로, 자유무역협정을 뜻합니다. 우리나라와 FTA를 체결한 국가에서 일정 요건을 갖춘 상품은 관세를 부과하지 않고 수입할 수 있도록 한 협정이에요.

 

 

대표적인 체결국

미국, EU(유럽연합), 캐나다, 싱가포르, 호주, 뉴질랜드, 베트남 등

 

해외직구 $150 달러 이상 관세 면제 받는 방법ㅣFTA 협정으로 면세 받기

 

 

해외직구 150달러 FTA 면세 면세 필수 조건

FTA 협정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다음의 요건이 반드시 충족돼야 합니다.

 

 

1. FTA 체결국에서 수입된 제품일 것

제품이 출발한 국가가 FTA 협정국이어야 하고, 상품이 해당국에서 생산된 것이어야 해요.

 

 

2. 원산지 증명서 또는 원산지 표시 필요

세관에 원산지 증명서를 제출해야만 FTA 면세를 적용받을 수 있어요.

  • 미국산 제품의 경우:
    정식 원산지 증명서가 아닌, **‘포괄원산지증명 문구’**만 있어도 FTA 적용 가능해요."I certify that the goods referenced herein are originating and comply with the origin requirements specified for these goods in the United States-Korea Free Trade Agreement."
  • 이 문구가 송장(invoice) 또는 패킹리스트에 기재되어 있어야 합니다.
  • 예시:

 

엔화 환전 방법과 은행 수수료 우대받기

 

 

 

 

해외직구 150달러 FTA 면세 면세 적용 방법

1. 제품 주문 시 셀러에게 요청하기

  • 구매한 쇼핑몰이나 셀러에게 FTA 적용 가능한 원산지 증명 문구를 송장에 넣어달라고 요청하세요.
  • 대표적인 쇼핑몰 예시:
    • 아이허브(iHerb): 자동으로 문구 삽입됨
    • 아마존 미국: 셀러에 따라 다름, 꼭 사전에 확인 필요
    • 이베이(eBay): 판매자에게 직접 메시지 보내기

 

 

2. 배송대행지 이용 시

  • 배대지(배송대행지)에서 송장을 수정하거나 누락될 수 있으니, 반드시 FTA 원산지 문구가 포함된 원본 송장을 수령해 놓으세요.

 

 

3. 세관 신고 시 증빙 제출

  • 관세청에 개인통관고유부호와 함께 상품 도착 시 세관 신고가 진행됩니다. 이때 FTA 원산지 문구가 포함된 송장을 첨부하면, 관세가 면제됩니다.
  • 단, 부가가치세(10%)는 면제되지 않아요.

 

해외직구 $150 달러 이상 관세 면제 받는 방법ㅣFTA 협정으로 면세 받기

 

 

 

해외직구 150달러 FTA 면세 면세 적용 후 세금 비교

항목 일반 해외직구($150 초과) FTA적용 해외직구
구매 금액 $250 $250
관세 약 8~13% 0% (FTA 면세)
부가세 약 10% 약 10%
총 납부세액 약 45,000~60,000원 약 30,000원
 

→ FTA 적용 시 약 1만 원 이상 절세 가능!

 

떙처리 항공권 구매 방법 5가지

 

 

 

 

해외직구 150달러 FTA 면세 자주 묻는 질문

Q1. 미국산이라도 아마존에서 구매하면 무조건 FTA 적용되나요?

아니요. 미국에서 출발하더라도 상품이 중국산 등 타국 제조일 경우 FTA 적용이 안 됩니다. 반드시 ‘원산지’가 미국이어야 해요.

 

 

Q2. 원산지 문구가 없으면 나중에 제출해도 되나요?

대부분의 경우는 물류 입항 시점에 맞춰서 제출되어야 하며, 늦게 제출하면 적용이 어려워요. 사전 준비 필수입니다.

 

 

Q3. 전자제품이나 명품도 적용되나요?

네, FTA 원산지 요건만 충족되면 카테고리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합니다. 다만, 브랜드나 생산 국가 확인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해외직구를 자주 하신다면, FTA 협정 혜택을 꼭 챙기셔야 해요. $150 이상이라고 무조건 세금을 내야 하는 건 아니며, 원산지 문구만 준비해도 수만 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 FTA 체결국에서 생산된 제품일 것
  • 원산지 문구 또는 증명서 필수
  • 구매 전 셀러와 소통하여 문구 삽입 요청

이 3가지만 기억하면, 앞으로의 해외직구는 더욱 스마트해질 거예요.

댓글